비전공자 AI/Data 취업 도전기 A to Z 두 번째 : 소프트스킬 습득하기
Softskill 역량을 관리하는 방법, Softskill 역량과 관련한 상황에서 주도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시행착오를 겪으며 본인의 노하우을 쌓는 방법을 얻었으면 좋겠습니다.

비전공자 AI/Data 취업 도전기 A to Z 두 번째 : 소프트스킬 습득하기
- AIFFELTHON 준비 : 직무분석 및 역량개발계획 설계하기(이전글)
- PoC LAB : 팀 빌딩 기간에 습득한 SoftSkill을 기반으로 자기소개서 작성하기
이번 글은 AIFFELTHON PoC LAB 과정을 통해 Softskill 역량을 관리하는 방법과 채용 담당자에게 표현하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Share Value grow Together
개발자 직무역량 개발과정을 소개합니다.
Softskill 역량 관리에 관해 소개에 앞서 직무역량 개발과정을 먼저 이야기해 드립니다. 이 과정을 통해 역량 수준, 역량 개발 방향성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1단계 : 누군가 정리한 지식 습득/실습하기
실무에서 겪는 실무 문제를 이해하지 못함
- 문제 해결할 수 있는 잠재 가능성이 있음
- 예시 : 교내 전공수업, 자격증 취득,
2단계 : 누군가 해결한 프로젝트 구축하기(신입)
실무에서 겪는 실무 문제를 이해
- 실무 문제를 간접적으로 경험함
- 예시 : 교내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교육 프로젝트, 낮은 수준의 공모전 등
3단계 : 누군가 해결한 프로젝트를 더 개선하기(주니어)
실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
- 실무 문제를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해결함
- 예시 : 실무에서 주어진 구축/개선 프로젝트, 높은 수준의 공모전 등
4단계 : 누구도 해결하지 못한 프로젝트 성공하기(시니어)
실무에서 문제를 혁신할 수 있는 수준
- 근본적인 원리를 이해한 후 다시 설계하여 해결함
- 예시 : 실무 비즈니스 혁신 프로젝트
제가 역량개발 관리를 해줄 수 있는 부분은 1, 2단계입니다. 또한 3단계의 역량을 가질 수 있게 ‘성장 mindset’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마지막으로 4단계로 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장기간 부단히 노력할 예정입니다.
역량(Softskill, Hardskill)을 개발한다는 것은 이론, 실습으로만 익히는 것이 아니라, 주도적으로 문제 상황을 ‘직면-고민-문제인식-시행착오-해결’하여 본인 노하우를 습득한다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누군가 문제를 해결하여 정리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지만, 나중에는 ‘누군가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개발해야 합니다.
PoC LAB 과정을 통해 소프트스킬 취업 역량 관리
PoC 은 Proof of Concept의 약자로 프로젝트가 실제로 실현 가능성 있는 계발 계획서를 제작하는 과정입니다. 그루(교육생)는 개인별로 개발 계획서를 제작한 후 발표합니다. 이후 우수 개발 계획서를 선발하여 팀 구성한 뒤, AI 현업 개발자 멘토링을 통해 기능을 고도화하여 방향성을 설정합니다.
PoC LAB 과정을 중 그루(교육생) 프로젝트 주제 선정, 목표 설정, 팀 빌딩, 팀원 설득, 갈등 관리 등 문제해결, 리더십, 소통, 협업 등 Softskill 관련한 문제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PoC LAB 과정에서 취업 스터디원이 얻어야 할 소프트스킬 역량
지금 우리가 올바른 일을 하고 있는가? 누구 아이디어로 성공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옳은 방향으로만 가고 있으면 된다.
-실리콘밸리 팀장들-
취업 스터디원에게 Poc LAB 과정을 진행하기 전 과정에서 겪는 문제 상황에 대해 인식하도록 도와주었습니다. 문제상황에서 해결을 위한 시행착오를 통해 노하우를 주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시도를 요청하였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본인만의 Softskill 노하우를 갖도록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취업 스터디 구성원이 현재는 ‘누군가 문제를 해결하여 정리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겠지만 시간이 지나 성장하여 ‘누군가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여 기업에 혁신을 가져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PoC LAB 과정을 통해 얻어야 할 5가지 문제해결 질문
문제해결 역량을 위해 아래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는 노하우가 있어야 합니다.
- 어떻게 문제를 정의하고 접근하였는가?
- 어떻게 아이디어를 도출할 것인가?
-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행동하였는가?
- 어떻게 약속된(합의된) 시간에 완성할 것인가?
- 왜 이렇게 문제를 해결했는지 설명할 수 있는가?
PoC LAB 과정을 통해 얻어야 할 5가지 리더십/팔로우십 질문
리더십/팔로우십 역량을 위해 아래 질문에 대해 답을 할 수 있는 노하우가 있어야 합니다.
- 어떻게 목표를 세울 것인가?
- 어떻게 지표를 설계하고 관리할 것인가?
- 어떻게 역할을 배분할 것인가?
- 어떻게 프로젝트 로드맵을 세울 것인가?
- 어떻게 구성원이 몰입하게 할 것인가?
PoC LAB 과정을 통해 얻어야 할 5가지 소통/협업 질문
소통/협업 역량을 위해 아래 질문에 대해 답을 할 수 있는 노하우가 있어야 합니다.
- 어떻게 회의 시간을 줄일 것인가?
- 어떻게 명확히 지시할 것인가?
- 어떻게 피드백/코칭 할 것인가?
- 어떻게 팀원 간 갈등 상황에 대해 소통할 것인가?
- 어떻게 의사소통 문화를 만들 것인가?
PoC LAB 과정을 통해 얻은 취업 스터디원의 소프트스킬 역량을 소개합니다.
PoC LAB 과정을 통해 얻은 Softskill 역량을 공유하였습니다. 이 Softskill 역량을 채용 담당자에게 어필하기 위해 구직서류 작성과 인터뷰 답변 준비를 진행하였습니다.

실제 취업스터디 실습 사진입니다.
구직서류 작성 및 인터뷰 답변 문장구조
- 사례요약 : 00을 통해 00이 된다는 것을 경험하였습니다.
- 주요과업 : 주요 과업은 00 이었습니다.
- 문제 : 문제는 00 이었습니다.
- 중요하게 생각한 것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00(주장)하였습니다.
- 행동 : 첫 번째, 두 번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00(주장) 구체화
- 결과 : 그 결과 00 했습니다.

실제 취업스터디 실습 사진입니다.
실제 구직서류 작성 및 인터뷰 답변 예시입니다.

실제 취업스터디 실습 사진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AIFFELTHON 프로젝트의 Poc LAB 과정을 통해 Softskill 역량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소개하였습니다. Softskill 역량 개발은 Softskill과 관련된 상황에 대해 주도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시행착오를 겪으며 본인의 노하우를 얻는 것입니다. 이렇게 얻어진 Softskill을 통해 아래 채용 공고의 요구하는 역량을 본인이 가지고 있다고 어필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은 Hardskill에 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다음 편을 기대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