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 Image

Spiritus LAB

모임 기간

2023.11.18 -

모임 일시

매주 토요일 10:30 ~ 12:30

장      소

강남

모집 기간

2023.10.21 - 2023.11.11

모집 인원

4명

선발 방식

사전 질문 기반 심사

랩 소개
운영 방식
참여 요건
랩장 소개

⭐️ 랩 소개

한 줄 소개
문학과 현실의 경계 지우기: 인문학, 기술 그리고 사람
분야
HUMANITIES_SOCIAL, ENGINEERING, ARTS
목표 결과물
PAPER
책 속 인물들을 AI로 구현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만드는데 관심있는 사람들끼리 모여 새로운 시도들을 해보고자 합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 좋아하는 책속 등장인물과 대화해보고 싶었던 사람, 책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를 실현시켜보고 싶은 사람, 인문학과 기술의 융합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모두 모여 가볍게 또 무겁게 컨텐츠를 만듭니다. 등장인물들을 현실로 불러내어 다양한 시도들을 해보는 랩입니다.

⭐️ 운영 방식

[GOAL 01. 기반 다지기: 기반 지식 및 기술을 공부하고 아이디어 구상을 시작하는 단계] 공통 1) 서로의 진척사항 공유 2) 아이디어 회의 Engineer track 1) AI 아키텍처 스터디 - AI 플랫폼의 요소는?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LLM, sLLM, 벡터DB 등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가? - LLM별 모델 학습방법 / 학습모델 활용방법 비교 - OpenAI (ChatGPT) - Bard - Alpaca - LLama - Vader - etc - Data Pipeline 고려 - 학습 데이터(원천 텍스트) 재구성 및 전처리 필요 여부 확인 - VectorDB 저장 및 호출 - 사용자 채팅 기록 저장, 모델 성능향상을 위한 tuning 활용 방법 고려 - fine-tuning 사례 스터디 - AI 챗봇 사례 스터디 - LLM 활용 서비스 스터디 2) PoC 만들기 - 간단하게라도 동작하는 AI 챗봇 혹은 버추어 휴먼 만들어보기 - 웹/모바일 서비스 개발보단 카카오톡/discord와 같은 메신저 연동한 서비스가 기술적으로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고 사용자 접근성이 높을 것 같음.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먼저 시도해보기 - model fine-tuning Contents Creator track 1) 컨텐츠 구상 - AI로 책 속 인물을 구현 한다면 어떤 컨텐츠를 만들 수 있을까 (가볍고 유머있는 방향성) <고려해야 할 요소> ㄱ. 어떤 분야의 시장을 노릴 것인가 (서브컬쳐, 교육, 게임 등) ㄴ. 어떤 사용자층을 타겟팅 할 것인가 ㄷ. 사용자에게 어필하는 selling point는 무엇인가 ㄹ. 등등 ------------------------------------------------------------- [GOAL 02. Demo 만들기: 간단한 컨텐츠를 개발하여 시장성 테스트 및 검증] 사용자가 가볍게 접근할 수 있고 유머러스한 감각을 가진 컨텐츠 개발 (해당 성격의 컨텐츠를 위해선 높은 기술적 튜닝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 공통 1) 컨텐츠 선정 및 아이디어 구상 2) 테스트 플랫폼 선정 (트위치, 유투버, 웹앱 등) 3) 테스트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논의하여 더 나은 버전을 위한 피드백 회의 Engineer track 1) 아키텍처 설계 2) 개발 3) 피드백 회의를 기반으로 한 유지보수 Contents Creator track 1) 시장 조사 - AI 챗봇 활용 서비스 분야별 조사 2) 사용자층 조사 3) 컨텐츠 구체화 ------------------------------------------------------------- [GOAL 03. 컨텐츠 고도화: 두가지 타입의 컨텐츠 개발] 사용자가 가볍게 접근할 수 있고 유머러스한 감각을 가진 컨텐츠 개발 (GOAL 02의 고도화 or 새로운 컨텐츠) 책을 좋아하는 독자들이 진지하게 등장인물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컨텐츠 개발 공통 1) 구현하고자 하는 책 및 등장인물 선정 2) 해당 등장인물에 가깝게 고도화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인문학적 아이디어 회의 3) 등장인물 검증을 위한 질문지 작성 4) GOAL 02의 컨텐츠 피드백 및 컨텐츠 고도화 여부 결정 (새로운 컨텐츠 or 고도화) Engineer track 1) 아키텍처 설계 2) 개발 3) 피드백 회의를 기반으로 한 유지보수 Contents Creator track 1) GOAL 02의 경험을 기반으로 기존 컨텐츠 고도화 혹은 새로운 컨텐츠를 위한 전략 구상 ------------------------------------------------------------- [GOAL 04. 논문작성: 책속 등장인물을 구현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논문 작성] 공통 1) 논문작성

⭐️ 커리큘럼

⭐️ 참여 요건

공통 1. 창의적인 시도를 하고자 하는 태도 2. 열정 및 책임감 3.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 Engineer 1. 기본적인 인프라에 대한 기초 지식 2. AI에 대한 관심 Contents Creator 1. 열린 사고와 유머감각 2. 사유하는 힘

⭐️ 사전 질문

대화를 나눠보고 싶은 책속 인물과 이유를 알려주세요.
취미생활이 있다면 무엇인지, 그 이유도 함께 알려주세요.
다른사람들과 스터디를 할때 본인은 어떤 공부방식을 선호하는지 알려주세요.
한국외에 다른 문화권을 접해본 경험이 있다면 간단한 경험 소개와 함께 기억에 남는 점을 공유해주세요. (여행, 외국인 친구, 유학, 다문화 가정, 봉사 등등)
살면서 해본 제일 엉뚱하거나 유쾌한 생각/발상/상상 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랩 참여시 Engineer와 Contents Creator 역할들 중 어느 역할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참여하고 싶나요?
직장을 경험해보셨다면 맡고 있는/맡았던 직무를, 아니라면 관심있는 분야를 간단히 소개해주세요.

⭐️ 랩장 소개

avatar_img
황윤경
hwangyoonkyung99@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