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연구소의 교육, 문화, 기술 등 다양한 이야기와 경험을 함께 나눕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 MVP와 함께하는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2023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InstructGPT와 강화학습으로 인해 스마트한 ChatGPT가 개발된 내용을 알아봐요!
ChatGPT 출시로 함께한 GPT-3에서 시작된 새로운 패러다임을 알아봐요!
머신러닝 모델을 비즈니스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을 MLOps 라고 부릅니다. 그중에서 이번 블로그에서는 MLOps의 시초 논문인 Google의 2015년 Hidden Technical Debt in Machine Learning Systems을 보겠습니다
ChatGPT 시대에 들어서면서 Responsible AI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Google과 OpenAI는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른 Responsible AI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비전공자가 장점이 될 수 있을까요? AI연구원으로 일하고 싶은 분들을 위하여 커리어와 AI채용시장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모두의연구소 열린세미나 「MODUPOP」 세미나 후기입니다.
전세계에서 가장 핫한 AI 커뮤니티인 Hugging Face는 구글 딥마인드에서 관리하고 있는 라이브러리인 JAX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whisper-jax와 커뮤니티 스프린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hatGPT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필수입니다. 프롬프트를 잘 작성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하며 사용자 피드백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에 실험을 진행하면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자컴퓨터는 고전컴퓨터와 달리 양자 우월성에 도달해 우수성을 증명했지만 여러가지 난관이 남아있습니다. 양자 컴퓨터와 머신러닝의 조합은 고전컴퓨터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추후에는 양자컴퓨터로만 머신러닝이 가능한 시대가 올거라 갱각합니다.
모두의연구소에서 AI 비전공자이신 조상현님과 최의진님이 어떻게 AI 논문을 쓰게 되셨는지 소개해주셨습니다. 조상현님은 회사에서 논문을 작성하셨고 최의진님은 캐글에서 알게 된 분과 같이 논문을 작성했습니다.
ChatGPT API와 Plugins에 대해서 찾아보았습니다. Plugins의 형태와 비슷하게 제공되는 Chrome extension을 간단하게 사용해보고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지 확인해봅시다.
글로벌 MLOps 트렌드는 생산성과 시스템 자동화에 포커스되어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데이터사이언티스트와 백엔드 엔지니어간의 관점 차이가 존재하고 있으며 마키나락스는 해당 내용을 해결한 MLOps 솔루션을 개발하고 배포하고 있다.
피아노 1달 독학한 실력으로 챗GPT(ChatGPT)를 활용해서 작곡을 해봤습니다.🎹🎶
OpenAI가 GPT-4 모델을 출시하면서, 성능 지표와 실험 결과가 포함된 technical report를 함께 공개했습니다. technical report에는 무슨 내용이 있는지 쉽고 빠르게 살펴봅시다!
3월 15일에 OpenAI에서 GPT-4를 발표했습니다. GPT-4는 ChatGPT로 대표되는 GPT-3.5보다 성능이 좋고 이번 발표는 MS, Nvidia와의 협력으로 만들어진 첫번쨰 프로세스라는 결과라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Stable Diffusion은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더욱 세부적인 제어가 필요함을 알게 되어 ControlNet 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제안되었습니다. ControlNet 은 사용자가 생성 과정을 더욱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며, 여러 가지 공간적 컨텍스트를 조건부로 생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생성 결과물은 놀라운 수준으로 개선되었습니다.
현재 챗봇 전성시대라 부를 수 있을만큼 챗봇의 열풍이 거세다.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Google, OpenAI, DeepMind같은 글로벌 회사들이 챗봇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향후 어떤 과제가 남았는지 알아볼 에정이다.
Google은 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현재 우리는 그 노력의 결과로 좀 더 나은 삶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구글 리서치의 2022년 성과와 2023년부터의 비전, 그리고 최신 연구 동향을 다루는 시리즈를 연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