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줄 소개
LLM의 심리학 개념 이해를 시각적으로 검증하며 자연어 처리 학회 투고를 목표로 연구
분야
HUMANITIES_SOCIAL, NATURAL_SCIENCES, ENGINEERING
목표 결과물
PAPER
랩 소개
LLM은 심리학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를 시각화를 통해 검증해 보고, 논문까지 써 보아요. 현재 타겟 저널은 ACL 등 자연어처리 관련 학회입니다. 투고는 내년 상반기까지 끝내는게 목표입니다!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 LLM 속마음이 궁금한 분들 환영입니다!
운영 방식
[큰 줄기] - 매일 화요일 오프라인 모임 - 선행연구 논문 및 코드 리뷰 - 연구에 적용 및 논문 작성 [작은 줄기] - 1번째 ~2번째 주: 소개 및 인지왜곡 소개 (데이터 이해) - 2번째 ~ 3번째 주: SLOW PAPER_심리학/정신건강 영역에서 LLM의 사용 - 4번째 ~ 8번째 주: SLOW PAPER_Explainability for LLM 공부 - 8번째 ~ 9번째 주: 연구 방법 구체화, 코드 리뷰 - 10번째 ~ 12번째 주: 코드 리뷰 및 실험 - 12번째 주 ~ : 논문 작성 * 결과에 따라 일정은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여 요건
- 아이펠 리서치 8기 <나몰래> 팀원이었던 분들이면 좋습니다. - LLM에 관심있는 분들 - LLM 심리학 도메인 연구에 관심이 있는 분들 - 논문 좀 읽어봤다!! 하시는 분들 - 논문 코드 구현에 관심이 있거나/경험이 있으신 분들 - 연구는 호흡이 길기 때문에, 반년 정도 파트타임이라도 연구에 시간을 내어줄 수 있는 분들이면 좋아요. - 빠른 피드백이나 결과물이 필요하신 분들이라면 죄송합니다.
사전 질문
아이펠 8기 리서치 과정에 참여하셨습니까?
랩장 소개

김서우
안녕하세요. 저는 얇고 넓은 지식을 추구하는 (?) 김서우 연구원입니다. 어릴 때부터 뭔가 만드는 일을 하고 싶다고 생각해왔는데, 그 생각이 시발점이 되어 흐르고 흘러 여기까지 왔네요. 대학원에서도 연구원, 회사에서도 연구원, 이제 풀잎스쿨에서도 연구원이 되어 정체성이 더 확고해져서 좋습니다 :) 저는 새로운 걸 많이 알아가는 걸 좋아해요. 새로운 지식을 알게 되면 세상을 보는 눈이 하나 더 늘어난 거 같은 기분이 드는데 그게 좋은 자극이 되거든요. 스타트업에 와서도 이것저것 다 조금씩 접하면서 잘 적응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좀 하나를 깊게 알아두면 좋지 않을까? 싶어서 풀잎스쿨을 찾게 되었습니다. 요즘 저의 최대 관심사는 데이터/수학이예요. 데이터 분석이나 수학은 사람의 마음을 밖으로 꺼내서 표현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좋은 도구 같아요. 이 도구 사용법을 잘 익혀서 저만의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게 지금의 가장 큰 인생 목표입니다.
AI Psychology lab
모임 기간
2024.11.12 - 2025.04.30
모임 일시
매주 화요일 19:30 ~ 21:30
장 소
강남
모집 기간
2024.10.25 - 2024.11.11
모집 인원
2명
선발 방식
사전 질문 기반 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