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medicalai
BioSolution LAB
모임 기간
2025.05.12 - 2025.08.16
모임 일시
매주 월요일 18:30 ~ 20:30
장 소
온라인
모집 기간
2025.04.30 - 2025.05.10
모집 인원
15명
선발 방식
사전 질문 기반 심사 + 온라인 커피챗
랩 소개
운영 방식
참여 요건
랩장 소개
⭐️ 랩 소개
한 줄 소개
생체데이터를 활용한 정신건강 AI 솔루션 탐구하는 모임입니다.
분야
ENGINEERING, MEDICINE
목표 결과물
PAPER, OPEN_SOURCE
생체데이터를 활용한 정신건강 AI 솔루션을 연구하는 모임입니다.
EEG(뇌파), 심박수, 위치 데이터, 동공 반응, PPG(광용적맥파) 등 다양한 시계열 생체 신호를 수집·분석하여, 우울증과 공황장애를 조기 탐지하거나 예측하는 딥러닝 기반 모델을 개발합니다. 또한 CBT(인지행동치료) 기반의 AI 대화형 치료 방법도 함께 탐구합니다.
모임은 단순한 스터디를 넘어, 논문과 최신 딥러닝 코드(모델/논문 기반)를 함께 읽고 실습하여, 직접 모델을 만들고 실험하는 경험을 중시합니다. 기초부터 차근차근 성장할 수 있도록, 초보자도 무리 없이 따라올 수 있는 딥러닝 기초 학습 자료가 제공됩니다.
우리는 생체 신호를 통해 인간의 감정과 정신건강 상태를 더 깊이 이해하고, AI 기술로 사람들의 삶을 실제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합니다.
본 모임은 AAAI(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학회에 논문을 투고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운영되며, 3개월 간 집중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운영 방식
모임은 월 4회를 기본으로 운영됩니다.
오프라인 모임은 매월 2회(격주), 분당 킨스타워 성균관대 캠퍼스에서 진행됩니다. 이 시간에는 연구원들이 직접 만나 실험을 설계하거나,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모델 개선 아이디어를 함께 토론합니다.
온라인 모임은 매월 2회, Zoom을 통해 열립니다. 논문 공유와 최신 딥러닝 코드 분석을 중심으로 가볍고 유연하게 운영됩니다.
오프라인 모임은 오후 6시 30분부터 8시 30분까지 진행되며,
온라인 모임은 같은 시간대(6시 30분~8시 30분)를 기본으로 합니다.
또한, 생체데이터 연구가 처음인 분들도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도록
딥러닝 기초 학습 자료와 생체 신호 데이터 전처리, 모델링 가이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 모임은 단순히 이론을 공부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논문을 읽고, 모델을 구현하고, 데이터를 다루어,
실질적인 연구 결과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에 진지하지만, 서로 배우고 성장하는 따뜻한 분위기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 커리큘럼
1주차 (오프라인) 오리엔테이션: 모임 소개, 연구 주제/목표 공유, AAAI 학회 소개, 연구원 자기소개 및 관심 분야 정리
2주차 (온라인) 관련 생체데이터 연구 논문 세미나 (EEG/심박/PPG 기반 정신건강 탐지 사례 리뷰)
3주차 (오프라인) 연구 주제 세분화 및 팀별 과제 설정, 사용 데이터셋 탐색 및 선정 논의
4주차 (온라인) 최신 시계열 딥러닝 모델 리뷰 (Mamba, S4, State Space Model 기반 트렌드 정리)
5주차 (오프라인) 데이터 전처리 실습: EEG, 심박수, 위치, PPG 신호 처리 워크숍
6주차 (온라인) 생체데이터 기반 Temporal Knowledge Graph (TKG) 구축 논문 리뷰 및 토론
7주차 (오프라인) 모델링 실습 ①: 생체데이터 기반 이상탐지/분류 베이스라인 구축 (Mamba/S4 활용)
8주차 (온라인) TKG 기반 질의응답(QA) 및 상태 추론 관련 최신 논문 리뷰 (e.g., DyGL, TKG-BERT)
9주차 (오프라인) 실험 결과 중간 발표: 모델 성능 공유, 데이터/모델 개선 피드백 세션
10주차 (온라인) AAAI 스타일 논문 초안 작성 워크숍 (목차 구성, 기존 AAAI Accepted Paper 분석)
11주차 (오프라인) Peer Review & 피드백: 각자 작성한 논문 초안 검토 및 코멘트 제공
12주차 (온라인) 논문 최종 수정, AAAI 포맷 정리, 제출 전 최종 리허설 및 마무리 안내
⭐️ 참여 요건
본 모임은 전문성보다 성실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딥러닝이나 생체데이터 분석 경험이 많지 않더라도,
정해진 일정에 맞추어 꾸준히 참여하고,
서로 배우며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진 분이라면 누구나 환영합니다.
1. 월 4회 모임(오프라인 2회, 온라인 2회)에 성실하게 참여할 수 있는 분
2. 주어진 과제(논문 리뷰, 코드 실습, 토론 등)에 책임감을 가지고 임할 수 있는 분
3. 모르는 것이 있더라도 질문하고 함께 해결하려는 태도를 가진 분
4. 팀 프로젝트(논문 작성, 모델 실험 등) 과정에서 끝까지 함께할 의지가 있는 분
5. 생체데이터 기반 정신건강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분
⭐️ 사전 질문
현재 관심 있는 연구 주제나 기술(예: 생체데이터, 정신건강 AI, 시계열 모델링 등)이 있다면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딥러닝, 생체 신호 처리, 또는 데이터 분석 경험이 있으신가요? 있다면 사용해본 데이터나 도구(예: EEG, PPG, PyTorch 등)를 함께
이번 모임을 통해 가장 배우고 싶은 점 또는 이루고 싶은 목표가 무엇인가요
오프라인(분당) 및 온라인(월 4회) 모임에 참여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선호하는 모임 방식(오프라인/온라인 위주 등)을 알려주세요.
팀 연구 및 논문 작성 과정에서 가장 자신 있는 부분(예: 코드 구현, 논문 읽기/요약, 실험 설계, 아이디어 제안 등)이 무엇인가요?
⭐️ 랩장 소개

이진권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융합학과 · dlwlsrnjs1111@daum.net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융합학과 소속 대학원생 이진권입니다.
AI 기술이 사람들의 감정과 건강을 이해하는 데 실제로 기여할 수 있다고 믿고, 이를 생체 신호 분석이라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풀어내고자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EEG, 심박수, 동공, 위치 등 다양한 생체데이터를 활용하여
우울증, 공황장애 탐지 모델 개발
CBT(인지행동치료) 기반 대화형 AI 시스템 연구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딥러닝과 시계열 데이터 분석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을 쌓았습니다.
특히 실험과 논문 작성을 끝까지 함께 완주하는 경험을 중시하며,
"배우면서 성장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연구"를 지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