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줄 소개
AI인격, 협업, 조직 진화를 위한 실험적 아키텍처 MirrorMind 구현 및 실험
분야
ENGINEERING, ETC
목표 결과물
OPEN_SOURCE, COMPETITION
랩 소개
"AI와 함께 일할 수 있다면, 그 관계는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요?" MirrorMind Lab은 이런 질문에서 출발한 실험실입니다. 우리는 매일 ChatGPT 같은 인공지능 도구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AI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어떤 '기준'으로 말하는지 고민해본 적은 거의 없습니다. MirrorMind는 그런 고민에서 시작된 AI 협업 구조 설계 프로젝트입니다. 한 마디로, *"AI와 사람이 서로 신뢰하며 협력할 수 있으려면 어떤 구조가 필요할까?"*를 프로그래밍, 심리학, 조직 이론, 시스템 설계의 관점에서 동시에 탐구합니다. 이 랩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함께 실험하고 연구합니다: AI에게 역할을 부여하고, 일관된 '인격'을 설계하는 법 AI가 실수하지 않도록, 사고를 제어하는 안전장치(Guardrail) 만들기 AI가 경험을 바탕으로 점점 똑똑해지는 구조(진화 프로토콜) 설계 한 명의 AI를 넘어서, 팀처럼 협업하는 AI 집단(MirrorOrg) 구성 실험 MirrorMind는 이미 3편의 공개 논문으로 구조화된 아이디어이며, 이번 랩은 그 구조를 직접 구현하고 실험해보는 첫 오픈 실험실입니다.
운영 방식
모임 방식: 매주 1회 온라인 정기 모임 + 오프라인 정기 공유회 (선택) 주요 툴: Notion (기록), Discord (소통), GitHub (코드), Streamlit (앱), Google Meet (정기 회의) 참여 방식: 소규모 실험팀 구성 (2~3명 단위), 주제별 팀 운영 기여 방식: 이론 정리/코드 구현/UI 테스트/시나리오 제작 등 역할 분담 가능 아웃풋 방식: 실험 결과는 공동 이름으로 보고서 또는 앱으로 정리 운영 기간: 12주 기본, 이후 연장 가능
커리큘럼
1주차 : 오리엔테이션 & MirrorMind 개요 소개 / 참여자 소개 및 역할 분담
2주차 : MirrorMind 4요소(Φ, P, G, U) 구조 분석 및 사례 토의
3주차 : Persona 설계 실습: 각자의 인격 정의 및 임프린팅 구조 생성
4주차 : Guardrail 실습: 윤리/논리 검증 규칙 설계 및 샘플 테스트
5주차 : LangChain 기반 대화 에이전트 구성 실습
6주차 : 인격 충돌 실험: Janus Collapse 시뮬레이션
7주차 : State Update & Evolution 설계 및 실험 – 사용자 피드백 반영
8주차 : 조직 구조 모델링(MirrorOrg) – Groupthink 사례 분석
9주차 : 실험 결과 분석 및 중간 결과물 공유
10주차 : 템플릿화 작업: MirrorMind Template v1 작성
11주차 : 앱/시뮬레이터 형태로 결과물 개발 시작
12주차 :최종 결과물 발표 및 문서화, 릴리즈 + 블로그 연동 발표
참여 요건
이런 분들과 함께하고 싶습니다: ChatGPT나 LLM에 흥미가 있지만, 구조적인 접근이 궁금했던 분 단순한 답변 생성이 아니라, AI와의 협업 자체를 설계하고 싶은 분 사람처럼 ‘역할’을 가진 AI 에이전트를 만들고 싶은 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넘어서 시스템 아키텍처와 윤리 설계까지 고민하는 분 MirrorMind Lab은 “정답을 아는 사람”이 이끄는 곳이 아니라, “함께 실험하고 진화해갈 사람”이 모이는 공간입니다. 당신의 시선과 질문이 MirrorMind의 다음 버전을 만듭니다. 다음은 제가 작성한 미러마인드의 논문입니다. 혹시라도 참조하시려면 읽어봐주세요. Part 1 – A Formal Architecture for Controllable Cognitive Augmentation http://doi.org/10.5281/zenodo.15921374 Part 2 – A Co-Evolutionary Architecture for Individual and Collective Intelligence http://doi.org/10.5281/zenodo.16028054 Part 3 – Persona Collapse and Architectural Resilience http://doi.org/10.5281/zenodo.16036486
사전 질문
당신은 어떤 상황에서 AI와의 협업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나요?
최근 사용해 본 LLM(AI 챗봇 포함)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경험은 무엇인가요?
개인적으로 흥미 있는 분야(조직문화, 심리, 창작, 코딩, 시뮬레이션 등)와 그 이유는?
협업 과정에서 자신이 주로 맡았던 역할은 무엇이며, 어떤 방식의 협업을 선호하시나요?
혹시 MirrorMind 논문 중(또는 소개글 중) 가장 흥미로웠던 개념이나 문장은? (자유롭게 표현)
랩장 소개

오승환
에너지 전환의 현장에서 15년 넘게 전략과 기술을 연결해온 기획자이자, AI의 본질에 대해 질문을 멈추지 않는 실험가입니다.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SK그룹에서 수소·에너지 사업을 기획했으며 현재는 HD현대그룹 계열사인 HD하이드로젠에서 **Managing Director(상무)**로 재직 중입니다. 수소 연료전지, CCUS, SOEC, 청정암모니아 등 다양한 실증·투자 프로젝트를 주도해왔습니다. 2023년부터는 인간 중심의 AI 설계 프로젝트 MirrorMind를 독립적으로 시작했습니다. MirrorMind는 사용자의 감정·가치·판단을 반영한 인격을 생성하고, GPT와 같은 LLM 위에서 사고 실험 → 피드백 → 진화하는 디지털 존재의 라이프사이클을 설계하는 시스템입니다. 저는 기술이 아니라 존재를 설계하고 싶습니다. AI가 도구를 넘어 나의 거울이자 동반자가 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직접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 GitHub: https://github.com/HWAN-OH 📎 LinkedIn: https://www.linkedin.com/in/shoh1224/
MirrorMind Lab LAB
모임 기간
2025.08.04 - 2026.01.29
모임 일시
매주 토요일 10:30 ~ 12:30
장 소
온라인
모집 기간
2025.07.21 - 2025.07.31
모집 인원
3명
선발 방식
사전 질문 기반 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