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 썸네일
LAB
다오랩 바이브코딩길드 LAB
5월 3일 - 9월 27일
10:30 - 12:30
WEEKLYSAT요일
온라인
25

한 줄 소개

“자율과 몰입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협업 문화를 만들어본다면?”

분야

ENGINEERING, HUMANITIES_SOCIAL

목표 결과물

COMPETITION, BOOK

랩 소개

바이브코딩 길드는 단순한 스터디를 넘어서 → 세미나로 생각을 정제하고 → 해커톤으로 함께 실험하고 → 사업화로 진화하는 자율 실험조직입니다 * 스터디는 이렇게 운영됩니다 - 발표 기반 실험형 스터디: 1인 또는 소그룹이 주제 발표 - 발표 주제 예시: “GPT로 팀 회고 자동화하기” “비동기 협업용 미니 앱 만들기” “조직문화 챗봇 프로토타입 실험” - 코드 공유 + 토론 + 정리를 통해 세미나로 연결 - 주 1회 (자율 참여), 발표는 순환제로 운영 예정 * 해커톤은 이렇게 펼쳐집니다 - 1일 집중 몰입형 해커톤 - 스터디/세미나 기반 주제로 팀 구성 - 당일 개발 & 데모 발표 - 소정의 시상, 이후 팀 단위로 확장 가능 * 이후에는 어떻게 발전하나요? - 해커톤 2~3회 반복 → 실험 반복 & 능성 타진 - 유료 세미나 / 미니 SaaS 도전 → 사업화 시도 - 수익 발생 시 다오랩과 수익 쉐어 모델 설계 * 누구에게 열려있나요? - "실험"과 "배움"을 함께 즐기고 싶은 다오랩 연구원 - 스스로 주제를 정해보고 싶은 분 - 실험을 넘어서 현실 가능한 제품/서비스까지 연결하고 싶은 분

#dao
#다오랩
#바이브코딩
#클로드코드

운영 방식

기본 일정 * 줌미팅 - 토 9:30~60분내외 - (비정기) 화 19시~(30분) * 해커톤 * 세미나 * 외주톤 * 내부 미니 프로젝트

커리큘럼

(1~4회차) 오리엔테이션, 연구 주제 및 목적 소개 / 목표 설정 / 연구원 자기소개

(1~4회차) 프로젝트 전체 일정, 주요 마일스톤 설정 / 리소스 계획 수립 / 역할 분담

(5~12회차): 기획, 기술 아키텍처 설계, 프로토타입 개발

(12~20회차): 테스트, 결과 분석 및 버그 수정

(20~20회차): 최종 검토 및 QA, 배포 계획 수립, 배포 및 피드백 수집

참여 요건

다오랩에 대한 이해가 있는 분들을 우선 선발

사전 질문

다오랩에 대하여 설명을 찾아보셨나요?

바이브코딩에 대한 경험치를 설명해해주세요

랩장 소개

avatar_img

임성중

GSICaigoodwillvoice@gmail.com

한동대 전산전공. 일본 NTT 등 엔지니어로서, NGO와 벤처에서 개발, 마케팅, 연구, 운영 총괄을 두루 경험. 액셀러레이터로서도 활동하고 있으며, 연쇄창업가로서 도전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스타트업 투자조합 대표펀드매니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