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 썸네일
LAB
n8n을 활용한 논문 필터링 자동화 LAB
9월 4일 - 12월 4일
19:00 - 21:00
WEEKLYTHU요일
온라인
3

한 줄 소개

n8n을 활용한 논문 필터링 자동화

분야

ENGINEERING

목표 결과물

OPEN_SOURCE, COMPETITION

랩 소개

이 모임은 분야를 막론한 연구자들이 리서치 자동화를 직접 설계·구현해 보는 실전형 커뮤니티입니다. 출발점은 “논문을 빨리 모으고, 믿을 만하게 고르고, 한 눈에 공유한다”는 단순한 목표입니다. 우리는 n8n으로 데이터 수집·연결을 오케스트레이션하고, LangChain/LangGraph 기반 에이전트로 루브릭 평가·근거 스니펫 추출·클러스터링·리포트 생성을 자동화합니다. 로봇 행동제어 사례에서 시작했지만, 바이오·교육·경영·HCI 등 어떤 연구 주제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 템플릿을 지향합니다. 12주 동안 참가자는 팀을 이루어 문제 정의→데이터 소스 확정→중복 제거와 메타 보강(DOI/OpenAlex/PWC)→루브릭 설계(Pydantic 스키마)→임베딩/클러스터링→Markdown/HTML/CSV 리포트→Slack/Notion 배포까지 끝단까지 이어지는 MVP를 완성합니다. 결과물은 실제 팀에서 당장 쓰일 수 있도록 재현성(로그·버전), 운영성(컨테이너·CI), 확장성(모듈형 노드)을 갖추게 됩니다. 목표는 “리서치 시간 60% 이상 절감, 누락·중복 최소화, 근거 첨부형 의사결정”이며, 나아가 개인/조직의 연구 루틴을 서비스화(PoB)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입니다.

##n8n,#agent,#workflow,#pipeline

운영 방식

모임은 12주 동안 매주 1회(2–2.5시간) 정기 세션과 비동기 협업으로 운영합니다. 매주 전반부는 미니 강의(30분) 로 핵심 개념·실습 데모를 보고, 후반부는 팀별 실습/피어 리뷰(70–90분) 로 실제 워크플로우를 만들어 갑니다. 팀은 3인 구성(A: LLM/평가, B: 수집/오케스트레이션, C: 리포팅/통합)으로 역할을 분담하고, 각 주차마다 “작동하는 산출물”을 제출합니다. 커뮤니케이션은 Slack, 이슈/코드는 GitHub, 태스크 보드는 Notion을 사용합니다. 자동화 파이프라인은 n8n(트리거·재시도·분기), LangChain 웹훅(FastAPI), Postgres+pgvector(메타/임베딩), S3/MinIO(아티팩트), MLflow/W&B(로그)를 기본으로 합니다. 품질 관리는 체크리스트/KPI(중복률<3%, 리포트 생성≤60초, 근거 스니펫 100%)로 점검하고, 매 4주마다 스프린트 데모를 진행합니다(4주차 중간 데모, 8주차 알파, 12주차 파이널). 모든 결과물은 Docker로 패키징하고, 템플릿/리플로우 가능한 코드로 정리합니다. 저작권·인용 준수, 데이터 윤리, 공개 범위는 가이드에 따르며, 각 팀은 최종 주에 오픈 템플릿 또는 내부 배포판 중 선택해 공개합니다. 목표는 “누구나 가져다 쓸 수 있는 연구 자동화 킷”을 만드는 것입니다.

커리큘럼

1주차|오리엔테이션 & 문제정의

2주차|수집 파이프라인 설계(n8n)

3주차|정규화·중복제거·보강

4주차|PDF/자막 파싱 & 로그

5주차|루브릭 설계(Pydantic)

6주차|Rubric Scoring 에이전트

7주차|임베딩·클러스터링

8주차|리포트 생성(HTML/MD/CSV)

9주차|배포 통합(Slack/Notion/Email)

10주차|실험 추적(MLflow/W&B)

11주차|컨테이너·CI/CD·운영

12주차|파이널 데모 & PoB 기획

참여 요건

n8n에 관심있는 누구나

사전 질문

n8n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자기소개 간단히 부탁합니다.

랩장 소개

avatar_img

박철

주식회사 코스모다이나믹e2g1234@naver.com

광운대학교 전자통신공학 (93’) 광운대학원 전자통신 석사(97’) 서울호서전문학교 전임교수(97’) ㈜하이버스 대표이사 ( 04’) ㈜포스트테크 대표이사 (12’) 관심분야 : 임베디드 시스템, 딥러닝, 강화학습, 자율주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