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 썸네일
LAB
TreeLink LAB
10월 30일 - 11월 27일
11:00 - 13:00
WEEKLYMON요일
온라인
3

한 줄 소개

AI와 IoT로 ‘심는 것’에서 ‘살아남는 숲’까지 데이터 기반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모임

분야

NATURAL_SCIENCES, ENGINEERING

목표 결과물

OPEN_SOURCE, COMPETITION

랩 소개

TreeLink Lab은 “심는 것으로 끝나는 탄소중립이 아닌, 살아있는 숲을 유지하는 기술”을 목표로 하는 연구 기반 창업팀입니다. 국내외 조림사업의 사후관리 부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oT 센서·AI 분석·클라우드 플랫폼을 융합한 스마트 생태 관리 네트워크(TreeLink)를 개발합니다. 🌿 Tree Sensor Unit(TSU) : 수분·온도·조도 등 생육정보를 실시간 측정하는 저전력 IoT 모듈 ☁️ TreeLink Cloud : AI가 나무의 건강 상태와 생장 패턴을 분석하여 자동 급수 및 경보 🔗 Carbon Data Chain : 생존률 기반 탄소흡수량을 블록체인으로 인증하여 ESG 데이터화 이 프로젝트는 기술과 환경, 데이터와 사회적 가치를 연결하는 기후테크 R&BD형 연구 창업팀으로, 산림청·지자체·기업 ESG 부서 등 실제 수요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상용화를 목표로 합니다.

#ai
#기후테크
#esg
#iot
#스마트산림관리
#탄소중립

운영 방식

주 1회 온·오프라인 병행 미팅 (이화여대 / 모두의연구소 강남캠퍼스) 하드웨어 엔지니어, AI 개발자, 기후데이터 분석가, ESG 기획자 협업 구조 GitHub 기반 협업, Notion/Slack을 통한 주차별 진행 공유 2개월 단위로 프로토타입 → 실증 → 서비스 모델링 단계적 목표 설정 산학·지자체 PoC(Proof of Concept) 제안서 작성 병행

커리큘럼

1주차: 오티

2주차: 기술 설계 및 시장 검증

3주차: 센서 프로토타입 제작

4주차: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5주차 : 자동관리 시스템 연동

6주차: 성과공유회

참여 요건

참여 요건 따로 없습니다. 열정! 열정! 열정!

사전 질문

백앤드개발이 가능한가요?

프론트개발이 가능한가요?

AI개발이 가능한가요?

랩장 소개

default_avatar

오정민

jm15@ewh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