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 썸네일
LAB
OpenNN LAB Season 2
12월 23일 - 11월 16일
19:00 - 21:00
WEEKLYMON요일
온라인
5

한 줄 소개

인공신경망을 연구하는 Open Neural Network Research Lab 2기입니다

분야

ENGINEERING

목표 결과물

PAPER, COMPETITION

랩 소개

차세대 뉴럴네트워크 연구를 진행하는 오픈 연구실입니다. 저희는 뉴럴네트워크의 구조 및 이론적 개선을 통해서 AI 학습 및 Inference의 성능(정확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요목적입니다. AI의 활용성에 대한 연구보다 저희는 AI 자체를 내부적으로 강화하고자하는 연구 모임입니다. 저희 연구를 통해 미래의 뉴럴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또한, 국내외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모여서 한국의 인공지능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랩의 최종목표는 Top-Tier 컨퍼런스 (NeurIPS, ICML, ICLR, AAAI, etc)에 논문을 제출하는 것입니다. 1기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1기에서는 워크샵 논문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2기부터는 메인컨퍼런스만 제출할 예정입니다. 1기에서, 주제가 굉장히 브로드했다라는 것을 느꼈기에, 이번 2기부터는 특정 주제를 선정해서 진행하려고 합니다. 현재 NYU 교수이자 Meta의 부사장인 얀 르쿤 교수님의 JEPA 아키텍쳐를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려고 생각 중입니다. (확정은 아니기에, 추후 변동될 예정이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의 관심사는 주로 Training Dynamics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 방법 e.g. LoRA), Quantization (Efficient ML), Neural Networks Architecture 개선등이 있습니다. 효율성을 개선하는 대부분의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2기 랩을 구성하고 있는 연구자들은 Boston University와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 재학중인 대학원생들 및 연구자들로 초기 멤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연구를 위한 GPU (A40 x N)도 확보를 한 상태입니다. *본 랩에 참여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본업이 있는 것을 당연히 고려하고 진행할 예정입니다.

#인공지능
##jepa
##딥러닝
##인공신경망
#뉴럴네트워크

운영 방식

본 연구실은 매주 최소 1~2회 정기적인 온라인 모임을 통해 연구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하며, 협업을 촉진합니다. 필요 시 오프라인 회의도 진행하여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합니다. 모든 모임은 효율성과 협력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참여자들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존중합니다.

커리큘럼

1주차: 오리엔테이션 및 연구 주제와 목적 소개, 목표 설정, 연구원 자기소개

2~3주차: 뉴럴네트워크 관련 사전 연구 탐색 및 논문 리뷰 (NeurIPS 2025 및 ICML 2025)

4~5주차: 뉴럴네트워크의 문제점 확인 해결 방안 모색

6~7주차: 차세대 뉴럴네트워크 구조 설계 및 실험 계획 설계

8~9주차: 실험 및 평가

10주차: 논문 초안 작성

11주차: 논문 수정 및 제출 (Target: NeurIPS 2026, AAAI, 기타)

참여 요건

최소 참여 요건: - 인공지능 관련 연구를 참여하거나 경험이 있는 분 (대학 연구실, 회사) - 학과가 인공지능과 관련된 학과 (컴퓨터 공학, 응용수학,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등등) - "국제" ML workshop이나 ML conference에 논문을 투고하고 발표한 경험이 있는 분 - 저희 랩은 AI 엔지니어링이 아니라 연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최소 석사 재학 중 이상의 학력이 필요합니다. 권장 요건 - 일주일에 5시간 이상은 연구에 가능하신 분 - 온라인 미팅이 가능하신분 - 커피를 좋아하시는 분 - 연구 콜라보레이션을 좋아하시는 분

사전 질문

현재 소속기관 및 직책을 설명해주세요! (ex. 한국대학교 / 인공지능 박사생)

현재 진행 중인 연구 및 관심사가 있다면 간략하게 작성해주세요. (큰 주제만 설명해주시면 됩니다!)

최근 읽은 관심있는 페이퍼 하나를 공유하고 왜 관심있었는지 언급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주일에 최대 몇시간을 본 연구실의 연구에 할애할 수 있나요?

Google Scholar 링크나 LinkedIn이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마지막 학위가 어떻게 되시나요 (학중, 학졸, 석중, 석졸, 박중, 박졸) 중 하나로 부탁드립니다!

취미가 뭔가요?

랩장 소개

avatar_img

윤주영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daniel.juyyu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