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이야기 블로그

모두의연구소의 교육, 문화, 기술 등 다양한 이야기와 경험을 함께 나눕니다

소프트웨어

리엑트 React 점유율 1위 , 프론트엔드 트렌드를 이끄는 리액트의 매력

현재 전 세계 웹 프레임워크 사용량 1위를 차지한 리액트는 메타가 오픈소스로 공개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입니다. 싱글 페이지 어플리케이션(SPA)과 가상 DOM을 통해 빠른 속도와 효율성을 제공하며, 서버 과부하를 줄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다양한 산업군의 테크 기업들이 리액트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자 한다면, 리액트의 감각을 끌어올리고 스킬을 다져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홍민지 | 2024.09.19

인공지능

OP-RAG (청크 순서 유지 RAG) : RAG vs. 긴 토큰 LLM

OP-RAG (Order-Preserve RAG)는 원본 텍스트에서 검색된 청크의 순서를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실험에서 청크의 순서가 답변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순서가 유지되면 RAG 의 답변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김성진 | 2024.09.13

인공지능

메타 라마(Meta Llama), 출시 이후 지금까지 [모두레터]

메타의 언어 모델 라마, 현재까지 허깅페이스에서 약 3억 5천만 번이나 다운로드됐다고 하는데요. 작년 이맘때 대비 무려 🔟배 이상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하자혜 | 2024.09.09

소프트웨어

프론트엔드 개발자 로드맵 2024 : 필수 학습 가이드, 공부 순서

프론트엔드 개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한 완벽한 학습 로드맵을 준비했습니다. 기초 개념부터 실무 스킬까지, 단계별 학습 방법과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습 팁까지 모두 소개합니다.

홍민지 | 2024.09.06

인공지능

DeepLab V3+: Semantic Image Segmentation 모델

이미지 분석 작업에서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인 Semantic Segmentation은, 입력된 영상의 각 픽셀이 클래스 라벨을 할당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번 블로그는 DeepLab V1~ V3+에 대해서 발전 과정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신유진 | 2024.09.02

인공지능

이제 웹에서도 미드저니(Midjourney)를 사용해 보세요! [모두레터]

이미지 생성 모델 미드저니(Midjourney)를 이제 웹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디스코드에서만 서비스하던 모델을 웹사이트로 확장해 접근성을 높인 것이죠.

하자혜 | 2024.09.02

모두의연구소

구글폼 응답, 고객 피드백 놓치지 않는 법 – 재피어 자동화 101

설문 폼을 통해 고객 피드백을 받고 있나요? 재피어를 통한 간단한 자동화로 빠르고 간편하게 피드백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아요!

하자혜 | 2024.08.30

인공지능

확률 vs 가능도

확률은 특정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나 기회를 나타냅니다. 모델 매개변수에 따라 예측한 특정 결과의 발생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반면 가능도는 모델이나 가설이 관찰된 데이터에 얼마나 잘 맞는지를 나타내는 정량적 추정 또는 측정으로 정의하는 것입니다.

김성진 | 2024.08.28

인공지능

YOLOv5 모델 리뷰

YOLOv5 모델은 백본으로 CSP-Darknet53, 그리고 넥은 SPP (Spatial Pyramid Pooling) 와 PANet, YOLOv4 에서 사용된 헤드입니다.

김성진 | 2024.08.28

인공지능

단일 샷 탐지기 (Single Shot Detector)

단일 샷 탐지기 (Single Shot Detector)는 컴퓨터 비전 분야의 객체 탐지 알고리즘입니다. SSD는 이미지나 비디오 프레임 내 객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하고 위치를 찾는 능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SSD의 특별한 점은 딥 뉴럴 네트워크를 한 번만 통과하여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며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입니다.

김성진 | 2024.08.28

1
...
7
8
9
...
41